SQLD 공부했던 방법(23년 50회)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치르고 난 후에 허리 상태도 괜찮아 진 것 같아서
다시 취업을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사람을 구하는 회사가 없더라구요
(...)
그래서 마냥 이력서를 넣고 연락을 기다리기보다
자격증을 하나 더 준비하려고 SQLD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SQLD는 합격률이 평균 50%이고, 정처기에 비해서 공부할 양이 많지 않아서
이번에는 단순무식하게 암기를 했습니다.
노랭이 책을 펴고, 유튜브 해설 영상을 들으며, 노트에 전부 필기하는 겁니다.
정처기 때도 그렇고 다른 공부도 그렇지만
저는 필기를 할 때 암기가 잘 됩니다. 그냥 보기만 하면 잘 안 되더라구요.
정처기는 범위가 넓어서 1주일 안에 필기 하기가 어려워서 목차 공부법으로 회독을 많이 했고
SQLD는 책을 한 번만 보는 대신에 필기를 전부 했습니다.
물론 필기한 노트는 계속해서 봤구요.
이런 식으로 노트를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_dx3fPb766E&list=PLlCujDgOz8x4JN2wHKbmlM8bFan-WaKj5
문제 풀이에 참고 한 유튜브 영상이고,
문제를 지문 - 답으로 정리한 것이 아니라
주제별 설명 형식으로 노트에 정리했습니다.
그러니까 위에 올려진 사진에 적혀진
모델링의 특징, 데이터 모델링의 주요 이유 등이
실제 각 문제를 문제번호 대신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설을 적은 것입니다.
유튜브 해설 영상을 보시면서
제가 정리한 노트를 보시면 그 순서가 맞습니다.
노랭이 해설에 있는 내용과 전광철 강사님의 해설을 토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공부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노랭이를 한 번 정리하고나니 2주가 걸렸었습니다.
나머지 1주는 기출 문제를 풀었는데
https://yunamom.tistory.com/265
[SQLD] 39회 기출 문제 ( 50문제 / 정답,해설포함 )
⏳남은시간 : 61분2초 📖SQLD. 제 39 회 기출 문제 문제 1. 특정 테이블에서 사원칼럼, 부서칼럼만 추출하는 경우에 DISK I/O를 경감할 수 있는 반정규화 방법은 무엇인가? 정답확인🌼 1) 수평 분할 2)
yunamom.tistory.com
위 블로그에 있는 기출을 풀면서 출제 유형을 파악하고
반복해서 풀었습니다.
SQLD 시험은 정처기와 비교하면
정처기는 35분 만에 시험이 끝난 반면에
SQLD는 시간이 빠듯했습니다.
문항 수가 많은 것도 요인이 될 수 있겠고,
쿼리문을 여유있게 보고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지문에 비해 쿼리문을 깊게 들여다 볼 시간이 없습니다.
1과목을 꼼꼼하게 풀고나서 시간을 보니 벌써 1시간이 지나 있더군요.
2과목은 일단 60점을 먼저 채우기 위해 쉬운 문제를 풀고
그 다음에 어려운 문제를 풀게 됐습니다.
쿼리가 조금만 복잡해진다싶으면 대충 보고 이거다싶은걸 골랐습니다.
시험을 치면서 채점을 같이 하고 있었기 때문에
60은 일단 넘겼었던 상태라 나머지 문제는 대충 풀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