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파크 티켓 구매를 처음 해봤습니다.
요즘에 덕질 중인 아이돌 밴드가 생겨서 쇼케이스 티켓을 구매하려다가
매크로 사용자들이 표를 매수해서 티켓을 구하지 못하고,
취켓팅마저 웹페이지 동작 불량으로 실패하면서
인터파크의 구조는 어떤 식으로 되어있는지 궁금하게 되어 찾아 본 내용입니다.
아주 간단한 부분만 짧게 보았습니다.
오늘 아침 7시, 인터파크 정기점검이 끝난 후의 화면입니다.
처음에는 전석8로 떴었는데 예매하기 버튼을 누를 때마다 점검 창이 떠서 제대로 진행을 못했습니다.
전석 8이 뜬 상태로 10분 동안 제대로 예매를 못 했습니다.
10분 뒤 들어가보니 잔여석은 4로 바뀌어 있었고
화면에서는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 보라색 버튼이 없었습니다.
개발자 도구에서 봐도 선택할 수 있는 input창이 만들어지지 않았네요.
화면에서 보여지는 것과 랜더링 된 코드를 비교해보면
서버에서 ticketList와 ticketCnt 값을 각각 보내주는 방식으로 보여집니다.
사용자가 좌석선택완료를 누르면 db의 상태 값을 바꿔주는 구조 같습니다.
useYN이나 state라는 컬럼을 만들어서 Y 또는 예매진행중 이런 식으로 값을 업데이트하는 느낌이죠.
ticketList에서는 결제대기, 결제완료, 예매진행 중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리스트에 담아서 보내는 것 같고
ticketCnt는 결제대기, 결제완료가 아닌 모든 행을 카운팅 하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예매 진행 중인 행을 같이 반환)
화면에서는 잔여석이 있는 것처럼 보여지지만 실제로는 잔여석이 없는거죠.
인터파크에서 티켓을 사는게 처음이라 정말로 잔여석이 남아있는 줄 알고
잔여석 8에서 잔여석 0이 될 때까지 계속 지켜만 봤습니다.
예매 진행 중인 상태일 때 잔여석을 0으로 만들어주고
예매 진행 중인 부분을 카운트로 뽑아서 별도로 표시해주면
보기 편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만 그렇게 하지는 않겠죠.
이상 호기심으로 본 인터파크 티켓 구매 페이지였습니다.
티켓 매크로는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도 궁금해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구해봤는데
파이썬으로 만든거였네요. 좀 더 뜯어보고 구현도 해보고 싶긴 합니다만
요즘 취업 준비 중이라 자바, 스프링부트를 공부하고 있어서
나중에 시간 여유가 되면 매크로를 만져보겠습니다.
따로 포스팅 하지는 않을거에요.
인터파크에서 작대기 그어진 문자 대신에 저 그림으로 인증하는 방식만 쓰면
매크로 유형 중 하나는 무조건 막게 돼있습니다. 알면서도 안 하고 있거든요.